경북도, 러시아 연해주와 우호교류협정 체결
<이 기사는 2017년 06월 07일 15시 15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우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와 예브게니이 폴랸스키 연해주 부지사는 지난 6일 러시아 연해주 정부 청사에서 양 지방정부 간의 상호 교류 강화를 위한 '우호교류 협정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이번 우호교류협정을 통해 러시아, 중국, 북한 등 동북아시아 지역 진출에 거점을 확보하고 유라시아 대륙철도 시대를 대비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경북도는 포항에서 훈춘(중국), 하산(러시아)으로 연결되는 물류망을 활성화 시키고 교류 지역 간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K뷰티 등 경북의 전략산업을 수출 동력산업으로 육성 할 계획이다.
또한 포항 영일만항에 구축 중인 5만 톤급 국제여객부두를 활용해 극동 러시아 지역의 관광수요를 흡수한다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연해주는 아시아와 극동러시아 지역과 유럽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풍부한 천연자원과 1억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중국 동북 3성(지린성, 랴오닝성, 헤이룽장성)과 인접하고 있어 새로운 동북아 경제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연해주와의 협정 체결은 한국기업이 동북아 경제권과 유라시아 시장에 진출하는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우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일행은 다음날 연해주 소재 고려인협회를 방문해 관계자들과 면담을 했다.
연해주는 우리나라 항일 독립운동의 근거지였으며 현재 고려인 3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 고려인 강제이주 80주년을 맞아 심포지엄과 봉사활동 등 다양한 고려인 정체성 찾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러시아와 1990년 9월 수교를 맺었고 이후 사회·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호협력 관계를 확대 발전시켜 오고 있다.
2008년에는 양자 관계뿐 아니라 지역·국제 사안에서도 공조하는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까지 격상됐다.
최근에는 한류의 영향으로 러시아 젊은이들에 케이뷰티, 한국어 말하기, 케이팝 등 한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 러시아에서 한국어 말하기 대회를 열었고 7월에는 체육을 통한 청소년 교류 행사를 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협정 체결로 경북도는 15개 국가 23개 단체와 자매결연·우호교류를 맺게 됐으며 앞으로도 자매·우호도시와 다방면으로 교류를 확대해 나가 지방정부로서의 교류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우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외교는 중앙정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도시·민간 외교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경상북도와 연해주는 국제무대에서 지방외교의 모범사례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
출처 : 경상북도청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이 기사는 2017년 06월 07일 15시 15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우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와 예브게니이 폴랸스키 연해주 부지사는 지난 6일 러시아 연해주 정부 청사에서 양 지방정부 간의 상호 교류 강화를 위한 '우호교류 협정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이번 우호교류협정을 통해 러시아, 중국, 북한 등 동북아시아 지역 진출에 거점을 확보하고 유라시아 대륙철도 시대를 대비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경북도는 포항에서 훈춘(중국), 하산(러시아)으로 연결되는 물류망을 활성화 시키고 교류 지역 간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K뷰티 등 경북의 전략산업을 수출 동력산업으로 육성 할 계획이다.
또한 포항 영일만항에 구축 중인 5만 톤급 국제여객부두를 활용해 극동 러시아 지역의 관광수요를 흡수한다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연해주는 아시아와 극동러시아 지역과 유럽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풍부한 천연자원과 1억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중국 동북 3성(지린성, 랴오닝성, 헤이룽장성)과 인접하고 있어 새로운 동북아 경제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연해주와의 협정 체결은 한국기업이 동북아 경제권과 유라시아 시장에 진출하는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우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일행은 다음날 연해주 소재 고려인협회를 방문해 관계자들과 면담을 했다.
연해주는 우리나라 항일 독립운동의 근거지였으며 현재 고려인 3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 고려인 강제이주 80주년을 맞아 심포지엄과 봉사활동 등 다양한 고려인 정체성 찾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러시아와 1990년 9월 수교를 맺었고 이후 사회·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호협력 관계를 확대 발전시켜 오고 있다.
2008년에는 양자 관계뿐 아니라 지역·국제 사안에서도 공조하는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까지 격상됐다.
최근에는 한류의 영향으로 러시아 젊은이들에 케이뷰티, 한국어 말하기, 케이팝 등 한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 러시아에서 한국어 말하기 대회를 열었고 7월에는 체육을 통한 청소년 교류 행사를 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협정 체결로 경북도는 15개 국가 23개 단체와 자매결연·우호교류를 맺게 됐으며 앞으로도 자매·우호도시와 다방면으로 교류를 확대해 나가 지방정부로서의 교류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우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외교는 중앙정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도시·민간 외교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경상북도와 연해주는 국제무대에서 지방외교의 모범사례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
출처 : 경상북도청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