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Net] 시푸드 레거시, 10월 1~2일 일본서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 2025' 개최
AsiaNet 0200988
도쿄 2025년 8월 25일 /AsiaNet=연합뉴스/-- 씨푸드 레거시(Seafood Legacy Co., Ltd.)와 닛케이 ESG(Nikkei ESG)가 10월 1~2일 오사카에서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The Sustainable Seafood Summit)'을 개최한다.
이미지: https://cdn.kyodonewsprwire.jp/prwfile/release/M108348/202508143579/_prw_PI1fl_O7tUgqcw.png
공식 웹사이트: https://sustainableseafoodnow.com/2025/en/
홍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9e660vi0Qis
2024년 시푸드 레거시와 닛케이 ESG는 일본과 전 세계 수산물 업계 주요 인사들과 함께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돌아보는 제10회 도쿄 지속가능 해산물 서밋(TSSS)을 개최했다. 이들은 이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수산물이 대세로 자리잡도록 하자는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2025년 '도쿄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TSSS)'은 지속가능한 수산식품 운동을 전 세계로 확산하기 위해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TSSS)'으로 명칭을 변경할 예정이다. 다만 약칭 TSSS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번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 구축, 지속가능한 수산식품의 보편화를 비롯한 지역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근절, 인권 문제와 기후변화 대응, 국내 어촌 지역의 활성화 방안도 함께 모색한다.
새롭게 명칭을 바꾼 TSSS는 전 세계 전문가와 변화를 이끄는 인사들이 모여 최신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수산업의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소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zgbmE_HtO8
초청 연사
- 히토시 후지타(Hitoshi Fujita) 일본 수산청장
- 바바라 잰커(Barbara Janker), 양식관리협의회(ASC) 유럽·아시아태평양 시장개발 담당 상무이사
- 고타로 스에요시(Kotaro Sueyoshi),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및 미즈호 은행 지속가능경영추진부, 그룹 최고지속가능성책임자(지속가능성 및 영향) 고문
- 프란시스코 알돈(Francisco Aldon), 마린트러스트(MarinTrust) CEO
- 와카오 하나오카(Wakao Hanaoka), 시푸드 레거시 설립자 겸 CEO 등
행사 개요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 2025
- 글로벌 협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수산업의 미래 모색
일시: 2025년 10월 1일(수) ~2일(목)
* 둘째 날 리셉션 예정
장소: 그랜드 큐브 오사카(오사카 국제 컨벤션 센터) 12층 콘퍼런스 홀
주소: 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구 나카노시마 5-3-51, 530-0005
오시는 길: 게이한 전철 나카노시마선 나카노시마역(오사카 국제 컨벤션 센터)과 바로 연결
참여 방법: 현장 참여만 가능
입장료: 무료(사전 등록 필수)
언어: 모든 세션에 일본어-영어 동시통역 지원
주최: 시푸드 레거시, 닛케이 BP(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공동 주최: 데이비드 앤드 루실 패커드 재단(David and Lucile Packard Foundation), 월튼 가족 재단(Walton Family Foundation)
자세한 행사 정보 확인 및 등록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능하다.
https://sustainableseafoodnow.com/2025/en/
씨푸드 레거시 소개: https://kyodonewsprwire.jp/attach/202508143579-O1-2I41dst0.pdf
닛케이 ESG 소개: https://kyodonewsprwire.jp/attach/202508143579-O2-j0bjL2Yz.pdf
자료 제공: Seafood Legacy Co., Ltd.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
AsiaNet 0200988
도쿄 2025년 8월 25일 /AsiaNet=연합뉴스/-- 씨푸드 레거시(Seafood Legacy Co., Ltd.)와 닛케이 ESG(Nikkei ESG)가 10월 1~2일 오사카에서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The Sustainable Seafood Summit)'을 개최한다.
이미지: https://cdn.kyodonewsprwire.jp/prwfile/release/M108348/202508143579/_prw_PI1fl_O7tUgqcw.png
공식 웹사이트: https://sustainableseafoodnow.com/2025/en/
홍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9e660vi0Qis
2024년 시푸드 레거시와 닛케이 ESG는 일본과 전 세계 수산물 업계 주요 인사들과 함께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돌아보는 제10회 도쿄 지속가능 해산물 서밋(TSSS)을 개최했다. 이들은 이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수산물이 대세로 자리잡도록 하자는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2025년 '도쿄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TSSS)'은 지속가능한 수산식품 운동을 전 세계로 확산하기 위해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TSSS)'으로 명칭을 변경할 예정이다. 다만 약칭 TSSS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번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 구축, 지속가능한 수산식품의 보편화를 비롯한 지역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근절, 인권 문제와 기후변화 대응, 국내 어촌 지역의 활성화 방안도 함께 모색한다.
새롭게 명칭을 바꾼 TSSS는 전 세계 전문가와 변화를 이끄는 인사들이 모여 최신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수산업의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소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zgbmE_HtO8
초청 연사
- 히토시 후지타(Hitoshi Fujita) 일본 수산청장
- 바바라 잰커(Barbara Janker), 양식관리협의회(ASC) 유럽·아시아태평양 시장개발 담당 상무이사
- 고타로 스에요시(Kotaro Sueyoshi),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및 미즈호 은행 지속가능경영추진부, 그룹 최고지속가능성책임자(지속가능성 및 영향) 고문
- 프란시스코 알돈(Francisco Aldon), 마린트러스트(MarinTrust) CEO
- 와카오 하나오카(Wakao Hanaoka), 시푸드 레거시 설립자 겸 CEO 등
행사 개요
지속가능 수산식품 서밋 2025
- 글로벌 협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수산업의 미래 모색
일시: 2025년 10월 1일(수) ~2일(목)
* 둘째 날 리셉션 예정
장소: 그랜드 큐브 오사카(오사카 국제 컨벤션 센터) 12층 콘퍼런스 홀
주소: 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구 나카노시마 5-3-51, 530-0005
오시는 길: 게이한 전철 나카노시마선 나카노시마역(오사카 국제 컨벤션 센터)과 바로 연결
참여 방법: 현장 참여만 가능
입장료: 무료(사전 등록 필수)
언어: 모든 세션에 일본어-영어 동시통역 지원
주최: 시푸드 레거시, 닛케이 BP(Nikkei Business Publications, Inc.)
공동 주최: 데이비드 앤드 루실 패커드 재단(David and Lucile Packard Foundation), 월튼 가족 재단(Walton Family Foundation)
자세한 행사 정보 확인 및 등록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능하다.
https://sustainableseafoodnow.com/2025/en/
씨푸드 레거시 소개: https://kyodonewsprwire.jp/attach/202508143579-O1-2I41dst0.pdf
닛케이 ESG 소개: https://kyodonewsprwire.jp/attach/202508143579-O2-j0bjL2Yz.pdf
자료 제공: Seafood Legacy Co., Ltd.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